" 갱년기 이후부터 잠들기가 힘들고 자꾸 깨요." 라는 증상으로 내원
- 간단병력: 갱년기 이후로 시작된 불면증 - 병원에서 수면제 처방을 받아서 복용 중,
갈수록 수면제 내성이 생겨 복용량이 늘어나 두려운 상태. - 갱년기로 호르몬 치료 받은 적 있으나 부작용으로 중간에 그만 둔 상태. - 자다가 다리가 저리는 증상으로 한의원에 다닌 적이 있음. 그러나 여전히 증상이 심함. ** 본원 진료 후
- 수면다원검사: 검사실에서 하룻밤 동안 자면서 수면상태 및 수면질환 검사 - 고밀도 뇌파검사, 다리운동억제 검사, 혈액검사 등 시행. - 종합혈액검사 시행: 철분 및 전해질, 빈혈 유무, 갑상선 기능 등 평가 - 하지불안증후군, 만성불면증 진단 - 수면다원검사와 운동억제검사 시행 1. 운동억제검사: 수면다원검사 전에 30분 이상 시행. 주관적인 느낌과 하지근전도 소견 평가 2. 수면다원검사: 수면 중 하지움직임 평가, 수면장애로 인한 수면의 질 저하 평가함. - 검사 결과: 1. 운동억제검사상 시간 당 50이상 하지 움직임. 2. 수면다원검사상 시간 당 30회 이상 하지 움직임 - 혈액검사상 철결핍성빈혈소견 : 고농축 철분주사치료 1회 시행 ** 만성불면증 치료 시행 - 인지행동치료 첫번째 시간: 수면교육 및 수면-각성리듬 치료 두번째 시간: 이완요법 1 세번째 시간: 이완요법 2 네번째 시간: 심상법, 근이완법 다섯번째 시간: 불면증상 조절 확인, 재발 방지 교육 - 자기장 치료 : 1회기 (좌-우 각 1회씩, 1회:20분) 2-5회기 (주 1회:20~25분) - 뇌파 치료 : 5회기 (주 1회- 40분) ** 불면증 인지행동치료, 자기장치료, 뇌파치료 시행.
- 총 5회기 시행. - 5회기로 불면증 증상 치료, 치료 종결 - 결과: 20분 이내로 잠듦, 자다가 깨는 횟수 1회 이내, 수면 중 다리저림증상 개선됨. * 상기 치료 사례는 본원에서 시행되는 치료 형태를 알려드리기 위해 재구성된 것입니다. 실제 사례는 치료후기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|